김창수 전남대 교수, 새로운 청각단백질 규명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교육

김창수 전남대 교수, 새로운 청각단백질 규명

청각장애의 유전적 원인 규명에 단초 제공

  소리를 신경세포의 전기적 신호로 전환시켜 들리도록 하는 단백질이 전남대 생명과학기술학부 김창수 교수(43)에 의해 규명됐다.
20일 전남대에 따르면 김 교수가 지난해 발견한 난청(Nanchung)단백질이 다른 단백질과 함께 작용해 청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지난해 초파리 게놈(생물의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염색체)에서 난청 유전자를 제거할 경우 소리를 들을 수 없는 돌연변이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혀냈었다.
소리를 잘 들을 수 없는 상태를 뜻하는 난청(難聽)에서 유래된 난청단백질은 청각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김 교수의 연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꿔주는 단백질의 정체가 규명되지 않았었다.
김 교수는 또 이번 연구에서는 난청단백질이 독자적으로 청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인액티브(Inactive) 단백질과 함께 작용해 소리를 전기신호로 전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학계에서는 이 연구 결과가 청각장애의 유전적인 원인을 규명하는데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 교수는 지난해 난청단백질 연구결과를 네이처지에 소개한데 이어 최근 연구결과는 신경생물 관련, 세계적인 학술지인 Journal of Neuroscience지에 발표했다.
한편 이 연구에는 전남대와 서울대, 미국의 스토니브룩·버지니아 대가 참여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