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성 동암마을서 ‘찾아가는 전남행복버스’ 시동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뉴스

보성 동암마을서 ‘찾아가는 전남행복버스’ 시동

동암경로당 시작으로 270개 취약마을 맞춤형 복지·문화... 판소리 공연과 영화 상영 큰 호응
보행 보조기 세척 수리·찾아가는 금융상담 등 신규로 추가

1찾아가는_전남행복버스.png
▲‘2025년 찾아가는 전남행복버스’가 보성 동암마을에서 운행 개시를 알렸다. 사진은 지난해 3월 화순 만수리에서 봉사하고 있는 모습.

  보성 동암마을에서‘2025년 찾아가는 전남행복버스’운행 개시를 알렸다.

 찾아가는 전남행복버스"는 사회서비스 취약 지역에 거주하는 도민에게 맞춤형 보건·복지·문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찾아가는 복지 버스다.

전남행복버스는 주 4회 270개 마을을 방문, 7천여 도민에게 26종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예정이다. 

올해는 특히 어르신들에게 꼭 필요한 ▲보행 보조기 세척·수리 ▲눈 건강검사 ▲찾아가는 금융 상담 등이 새롭게 추가됐다.

전남행복버스 출발식1.jpg

 보성 동암마을에서 진행된 행사에서는 혈압·혈당 검사, 치매 검사 및 한방 치료 등 보건 서비스와 키오스크 교육, 이·미용, 네일아트 등 맞춤형 복지 서비스도 함께 제공됐다. 

또한 문화 활동을 접하기 어려운 어르신에게 판소리 공연과 영화 상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현장에서 보행보조기 수리·세척을 받은 한 주민은 “오래된 보조기로 불편을 겪던 차에 전남행복버스 덕분에 수리를 받고 편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됐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찾아가는 전남행복버스는 2021년 8월 운영을 시작해 현재까지 663개 마을, 2만 명 이상 도민을 만나 총 16만 700여 건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용 만족도는 99%에 달한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시행되고 있는 전남행복버스는 그 성과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을 수상했으며, 전북·경남 등 전국에서 벤치마킹이 잇따르고 있다.

전남도는 전남행복버스 프로그램을 풍성하게 운영하기 위해 이·미용, 문화공연, 현장 운영 등 다양한 분야의 재능기부자를 연중 모집하고 있다. 관심 있는 도민은 전남도사회서비스원(061-287-8152)으로 신청하면 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