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 금성관 관광객들로 북적... 버스킹도 인기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

나주 금성관 관광객들로 북적... 버스킹도 인기

6월 첫 주말 금성관 앞 '나주곰탕' 식당가 '인산인해'
'노래하는 아트딜러' 유인상씨 통기타 실력 맘껏 뽐내

K 25.jpg

 6월 신록의 계절을 맞이한 첫 주말인 1일 나주 금성관 앞은 관광객들로 붐볐다.

일찍 찾아온 더위도 아랑곳하지 않고 수많은 관광객들이 전국 곳곳에서 나주를 찾아온 것이다.

'나주곰탕' 식당가는 당연히 붐볐고 금성관 망화루 옆 데크무대에서는 '유투 버스킹'이 일찌감치 자리를 잡고 트로트를 신나게 부르며 청중들을 불러 모았다.

'나주곰탕' 식당가로 유명한 금성관 앞은 몰려든 전국 관광버스들이 관광객들을 싣고 와 곰탕 한 그릇과 금성관 관람에 여념이 없다.

'노래하는 아트딜러' 유인상씨가 통기타를 맡은 '유투 버스킹'은 이날 동백아가씨(이미자), 그 중에 그대를 만나(이선희), 아파트(윤수일), 모나리자(조용필). 백만송이 장미(심수봉) 등 주옥같은 노래를 불러 연신 박수가 터져 나왔다. 대중 공연에 목 말라하던 관광객들에게 힐링을 선물한 셈이다. 

KakaoTalk_20240601_114830608.jpg

나주 금성관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제2037호로 지정된 '나주 금성관'은 조선 시대 지방관아인 객사다. 객사란 임금의 상징인 전패와 궐패를 모시고 초하루와 보름마다 망궐례를 올리거나, 지방에 오는 사신과 관원을 접대하는 건물이다. 망궐례는 궁이 멀어서 임금을 배알하지 못할 때 멀리서 궁을 바라보고 행하는 유교 의례다.  

금성관 창건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금성관중수상량문'과 '망화루중수기' 등 문헌에 조선 초기부터 지금의 자리에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에 현재 규모와 골격은 1617년 이전에 갖췄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금성관은 1775년과 1885년 중수됐고, 일제강점기에는 군 청사로 사용됐다. 1976년 보수한 이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금성관 중심 건물인 정청은 조선 시대 객사 중 가장 크다. 이 객사 지붕은 팔작지붕이어서 맞배지붕을 사용하는 일반 객사의 정청과 다르다. 이는 인근에 있는 나주향교 대성전도 일반 향교 대성전의 지붕 형태인 맞배지붕과 달리 팔작지붕을 한 점에서 지역 특수성으로 볼 수 있다. 

건물 양식은 일반적인 주심포계 익공식 공포를 사용했으나 정청 전면에 설치된 월대, 건물 내부의 천장과 용 문양 단청은 궁궐 건축 요소를 도입했다. 이 점도 일반 객사와의 차이점이다.  

이처럼 금성관은 나주 읍치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원래 자리에 원형을 지키고 있다. 규모와 형태 면에서도 다른 객사와 차별된 격조 높은 건물로 국가지정문화재로서 역사·건축·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나주 망화루.jpg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